쌍뜨 빼쩨르부르끄[각주:1]의 뽄딴까 운하에는 수많은 다리가 놓여 있지만, 어느 것 하나 똑같이 생긴 다리가 없다. 운하에는 관광객들을 실은 배들이 느긋하게 지난다. 수십 개의 다리 밑을 지나고, 수십 명의 사람들과 다리 위에서, 아래에서 눈을 마주친다. 낮에도 그러하지만, 백야가 펼쳐지는 여름밤에는 더욱 많은 사람이 다리 위에서 운하를 바라보며 시간을 보낸다. 그러다 혹시 아는가. 누군가는 누군가를 인연으로 만나기도 하는 것. ‘나스쩬-까’[각주:2]를 기다리는 일 같은 것. 운하를 건너는 다리는 낭만적인 공간이다. 몽상가들에게는 더욱더, 그러하다. 

  

   나는 러시아에 있었다. 22일, 6월, 2013년. 디지털카메라로 찍는 사진마다 날짜와 시간을 꼬박꼬박 새겨 넣었다. 지워버릴 순 없지만, 버튼 하나로 수정할 수 없는 흔적이 남는다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해서였다. 300년이 된 도시에서 쉽게 감상적이 되거나, 자주 중2병 걸린 허세남이 되었다. 누구라도 300년이 된 도시에 서 있으면, 그럴 만하다고 생각했다.

   러시아를 여행하기 위한 준비물이랍시고, 타블릿 PC에 가득 넣어갔던 러시아 문학가들의 작품은 여행 며칠 만에 도스토옙스키의 단편소설 ‘백야’의 나스쩬까처럼 짧은 환상만 남기고 사라져버렸다. (즉, 간단히 말하면 도둑맞았습니다.) 그렇다. 바로 나스쩬까처럼, 도스토옙스키의 짧은 단편소설은 그렇게 내 손을 떠났다. 일정에 쫓기다 보니 진득하게 책을 읽을 여유가 없었다. 그 와중에 짧은 단편소설, ‘백야’를 읽었다. 읽었다고 하기에도 모자라다. 나는 소설 ‘백야’를 봤다. 읽었다는 느낌만 남아있는 상태, 그래서 나는 아무래도 그 책에 대해 설명하거나 소개할 수가 없다. 그러나 어쨌든, 나는 러시아에서 소설 ‘백야’와 ‘백야’를 봤다. 그런 것도 낭만이 될 수 있는 도시일까, 상-뜨 빼쩨르부르끄. 


   말하자면, 나의 이 낭만은 느끼는 것이 아니라 발견하는 것이다. 그러나 발견된 것은 낭만이 아니라 낭만에 대한 추억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느꼈다는 것을 발견하고 추억할 뿐이다. 낭만적인 것은 그런 것이다.  지난 뒤에 발견됨으로써 소중해지는 것. 그것은 이렇게 마감에 쫓긴 새벽에도 존재하고, 하염없이 늘어져 낮잠을 자고 일어난 오후의 소나기에도 존재하는 것. 우리가 끊임없이 묻는 당신의 안부에도 사실 낭만이 존재한다. 나는 그런 것들을 발견할 때마다 그만, 설레고 마는 것이다. 내가 오늘 소개하려 했던 책들은 모두 저 스웨덴의 낯선 사람 손에 들려있을 것이고, 그래서 나는 이 순간 낭만을 떠올릴 수 있는지도 모르겠다.




 당신도 한번 가보시라. 쌍-뜨 빼째르-부르끄-


2013년 7월 한국. 깜깜한 밤.

 _대충 소설가_


3호 전체를 보시려면  PDF를 다운 받으세요.

http://noldaga.tistory.com/33


다운 없이 지금 당장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http://issuu.com/noldaga/docs/___________3_______________________





  1.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petersburg) : 표트르대제가 1703년 설립하여 1713년 천도, 1918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러시아 제2의 도시, 북유럽의 베니스라고 불리우며, 레닌그라드라는 또다른 이름을 가진 도시. 쌍-뜨 빼쩨르부르끄. [본문으로]
  2. 나스쩬까 : 도스토옙스키의 단편소설 ‘백야’에 등장하는 여인의 이름으로, 다리 위에서 슬픔에 잠긴 채 서성이는 모습을 본 몽상가인 주인공 청년이 첫눈에 사랑에 빠져 매달린 여인의 이름. 헤어진 애인을 만나기로 한 다리에서 매일 기다리지만, 애인은 오지 않고, 이윽고 진실하게 애정을 고백하는 몽상가 청년에게 마음을 여는 순간, 기적처럼 나타난 옛 애인에게 쪼르르 달려가 안겨버린 괘씸녀. [본문으로]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